조각화란?

  • 큰 IP 패킷들이 적은 MTU( Maximum Transmisson Unit : 데이터 최대 전송 단위 )를 갖는 링크를 통하여 전송되기 위하여 여러 개의 작은 패킷으로 쪼개어 전송하는 것
  • 일반적으로 조각화되면, 최종 목적지에 도착할 때까지 재조립되지 않는다.
  • IPv4발신지 뿐만 아니라 중간 라우터에서도 IP 조각화가 가능
  • IPv6 IP 단편화발신지에서만 가능

 

First Fragmentation

  • MTU3300Byte
  • 이 때, DataIPv4의 크기인 20Byte를 뺀 3280Bytes 단위로 쪼개진다.
  • MF( More Fragment ) : 내 뒤에 패킷이 더 있는지 표시
  • Offset : 이전 조각보다 데이터 크기만큼 떨어져 있음 ( 3280을 8로 나눠서 쓴 값 ) 
  • Fragment4  : 마지막 패킷이므로 MF0, Data는 남은 Bytes( 2140Bytes )가 됨
  • 조각화 된 패킷들은 각각 IP 프로토콜이 Encapsulation되어 있는 상태 ( 페이로드는 Data )
  • 쪼개진 데이터들의 ID값같으므로, 받는 쪽에서 flagOffeset을 이용해 데이터를 재조립함 

 


다음 강의를 정리한 내용입니다.
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_AONcID7Sc8&list=PL0d8NnikouEWcF1jJueLdjRIC4HsUlULi&index=14&ab_channel=%EB%94%B0%EB%9D%BC%ED%95%98%EB%A9%B4%EC%84%9C%EB%B0%B0%EC%9A%B0%EB%8A%94IT

'Computer Science > 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UDP 프로토콜  (0) 2023.11.09
4계층 ( Transport Layer )  (0) 2023.11.09
라우팅 테이블  (1) 2023.10.28
먼 컴퓨터와 통신하는 방법 : IPv4 & ICMP ( 3 Layer )  (3) 2023.10.28
ARP 프로토콜  (1) 2023.10.26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