여러 프로세스 중에서 통신하고 싶은 특정 프로세스와 통신하는 방법  ( Client - Server 간의 통신 )

4 계층 프로토콜

4계층에서 하는 일

  • 전송 계층은 송신자의 프로세스와 수신자의 프로세스연결하는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.
  • 연결 지향 데이터 스트림 지원, 신뢰성, 흐름 제어, 다중화와 같은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한다.
  • TCP : 연결 지향 전송 방식을 사용하는 전송 제어 프로토콜 ( TCP )
  • UDP : 비연결 지향, 단순한 전송에 사용되는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 ( UDP

 

포트 번호

  • 특정 프로세스와 특정 프로세스가 통신을 하기 위해 사용한다. ( 프로세스가 쓰는 주소
  • 하나의 포트는 하나의 프로세스만 사용 가능하다.
  • 하나의 프로세스가 여러 개의 포트 번호를 사용하는 것은 가능하다.
  • 포트 번호는 일반적으로 정해져 있지만 무조건 지켜야 하는 것은 아니다. 

Well-Known 포트

  • 잘 알려진 프로그램들이 어떤 포트 번호를 쓰는지 지정되어 있는 것
  • ~ 1023 

Well-Known Port

 

Registered 포트

  • 예약된 포트
  • 대표적으로, DB 서버 
  • 1024 ~ 49151

 

Dynamic 포트

  • client가 쓸 수 있는 포트
  • 일반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포트
  • 49152 ~ 65535

Dynamic 포트

 

프로그램의 연결 정보

  • 명령어  : netstat -ano 
  • 현재 포트 활성 여부를 나타내는 활성 연결 테이블

다음 강의를 정리했습니다.
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tG0ldt4sBzY&list=PL0d8NnikouEWcF1jJueLdjRIC4HsUlULi&index=16&ab_channel=%EB%94%B0%EB%9D%BC%ED%95%98%EB%A9%B4%EC%84%9C%EB%B0%B0%EC%9A%B0%EB%8A%94IT

'Computer Science > 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TCP 프로토콜  (3) 2023.11.10
UDP 프로토콜  (0) 2023.11.09
IPv4 조각화  (0) 2023.11.09
라우팅 테이블  (1) 2023.10.28
먼 컴퓨터와 통신하는 방법 : IPv4 & ICMP ( 3 Layer )  (3) 2023.10.28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