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중 우선순위 큐
문제
이중 우선순위 큐(dual priority queue)는 전형적인 우선순위 큐처럼 데이터를 삽입, 삭제할 수 있는 자료 구조이다. 전형적인 큐와의 차이점은 데이터를 삭제할 때 연산(operation) 명령에 따라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데이터 또는 가장 낮은 데이터 중 하나를 삭제하는 점이다. 이중 우선순위 큐를 위해선 두 가지 연산이 사용되는데, 하나는 데이터를 삽입하는 연산이고 다른 하나는 데이터를 삭제하는 연산이다. 데이터를 삭제하는 연산은 또 두 가지로 구분되는데 하나는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것을 삭제하기 위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우선순위가 가장 낮은 것을 삭제하기 위한 것이다.
정수만 저장하는 이중 우선순위 큐 Q가 있다고 가정하자. Q에 저장된 각 정수의 값 자체를 우선순위라고 간주하자.
Q에 적용될 일련의 연산이 주어질 때 이를 처리한 후 최종적으로 Q에 저장된 데이터 중 최댓값과 최솟값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라.
입력
입력 데이터는 표준입력을 사용한다. 입력은 T개의 테스트 데이터로 구성된다. 입력의 첫 번째 줄에는 입력 데이터의 수를 나타내는 정수 T가 주어진다. 각 테스트 데이터의 첫째 줄에는 Q에 적용할 연산의 개수를 나타내는 정수 k (k ≤ 1,000,000)가 주어진다. 이어지는 k 줄 각각엔 연산을 나타내는 문자(‘D’ 또는 ‘I’)와 정수 n이 주어진다. ‘I n’은 정수 n을 Q에 삽입하는 연산을 의미한다. 동일한 정수가 삽입될 수 있음을 참고하기 바란다. ‘D 1’는 Q에서 최댓값을 삭제하는 연산을 의미하며, ‘D -1’는 Q 에서 최솟값을 삭제하는 연산을 의미한다. 최댓값(최솟값)을 삭제하는 연산에서 최댓값(최솟값)이 둘 이상인 경우, 하나만 삭제됨을 유념하기 바란다.
만약 Q가 비어있는데 적용할 연산이 ‘D’라면 이 연산은 무시해도 좋다. Q에 저장될 모든 정수는 -231 이상 231 미만인 정수이다.
출력
출력은 표준출력을 사용한다. 각 테스트 데이터에 대해, 모든 연산을 처리한 후 Q에 남아 있는 값 중 최댓값과 최솟값을 출력하라. 두 값은 한 줄에 출력하되 하나의 공백으로 구분하라. 만약 Q가 비어있다면 ‘EMPTY’를 출력하라.
시간 제한 : 6초
메모리 제한 : 256MB
JAVA 라이브러리에는 PriorityQueue가 있어서 Heap 자료구조를 직접 구현하지 않아도 우선순위 큐를 쉽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.
기본적으로는 최소 힙을 사용하며, 생성자에 Comparator.reverseOrder()을 두면 최대 힙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
저는 최소 힙과 최대 힙을 모두 사용하여 연산을 구현했습니다.
이때, 연산을 하다보면 두 우선순위 큐에 데이터가 불일치하게 됩니다. 따라서 저는 Map 자료구조를 사용하여 데이터의 개수를 체크해서 데이터를 일치시키도록 하였습니다.
// 최소 힙, 최대 힙, 데이터 개수를 저장할 Map, 현재 유지하는 데이터의 수
PriorityQueue<Integer> minQ = new PriorityQueue<>();
PriorityQueue<Integer> maxQ = new PriorityQueue<>(Comparator.reverseOrder());
HashMap<Integer, Integer> dataCounter = new HashMap<>();
int Q_size = 0;
- 삽입 연산 구현 ( I )
- minQ, maxQ 모두에 데이터를 삽입합니다.
- 데이터의 수를 갱신합니다. ( dataCounter, Q_size 갱신 )
- 삭제 연산 구현
- 삭제 연산
- Q_size로 큐가 비어있는지 확인하고, 비어있으면 연산을 종료합니다.
- minQ(또는 maxQ)의 가장 앞에 있는 데이터가 이미 삭제된 데이터인지 확인합니다.
( 만약 이미 삭제된 데이터인 경우, 버리고 다음 데이터로 1번 수행 ) - Q_size와 dataCounter 갱신 ( 각각 -1 )
- 삭제 연산
import java.io.*;
import java.util.Comparator;
import java.util.HashMap;
import java.util.Map;
import java.util.PriorityQueue;
// 이중 우선순위 큐
public class BOJ7662 {
static BufferedReader bufferedReader = new BufferedReader(new InputStreamReader(System.in));
static BufferedWriter bufferedWriter = new BufferedWriter(new OutputStreamWriter(System.out));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throws IOException {
int T = Integer.parseInt(bufferedReader.readLine());
while (T-- > 0) {
int k = Integer.parseInt(bufferedReader.readLine());
operate(k);
}
bufferedWriter.flush();
}
static void operate(int k) throws IOException {
PriorityQueue<Integer> minQ = new PriorityQueue<>();
PriorityQueue<Integer> maxQ = new PriorityQueue<>(Comparator.reverseOrder());
HashMap<Integer, Integer> dataCounter = new HashMap<>();
int Q_size = 0;
for (int i = 0; i < k; i++) {
String s[] = bufferedReader.readLine().split(" ");
char op = s[0].charAt(0);
int val = Integer.parseInt(s[1]);
// Insert 연산
if (op == 'I') {
minQ.add(val);
maxQ.add(val);
Q_size++;
if (dataCounter.containsKey(val)) {
dataCounter.replace(val, dataCounter.get(val) + 1);
} else {
dataCounter.put(val, 1);
}
}
if (op == 'D') {
if (Q_size == 0) {
continue;
}
if (val == 1) {
Integer max = maxQ.poll();
while (dataCounter.get(max) == 0){
max = maxQ.poll();
}
dataCounter.replace(max, dataCounter.get(max) - 1);
}
if (val == -1) {
Integer min = minQ.poll();
while (dataCounter.get(min) == 0){
min = minQ.poll();
}
dataCounter.replace(min, dataCounter.get(min) - 1);
}
Q_size--;
}
}
if (Q_size == 0) {
bufferedWriter.append("EMPTY\n");
} else {
Integer min = minQ.poll();
Integer max = maxQ.poll();
while (dataCounter.get(min) == 0){
min = minQ.poll();
}
while (dataCounter.get(max) == 0){
max = maxQ.poll();
}
bufferedWriter.append(max + " ");
bufferedWriter.append(min +"\n");
}
}
}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7662
7662번: 이중 우선순위 큐
입력 데이터는 표준입력을 사용한다. 입력은 T개의 테스트 데이터로 구성된다. 입력의 첫 번째 줄에는 입력 데이터의 수를 나타내는 정수 T가 주어진다. 각 테스트 데이터의 첫째 줄에는 Q에 적
www.acmicpc.net
'PS > 백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 BOJ 20955 ] 민서의 응급 수술 ( java ) (1) | 2024.06.13 |
---|---|
[ BOJ 1074 ] Z ( JAVA ) (0) | 2024.03.06 |
[ BOJ 2670 ] 연속부분최대곱 ( JAVA ) (0) | 2023.09.09 |
[ BOJ 26169 ] 세 번 이내에 사과를 먹자 ( JAVA ) (0) | 2023.09.07 |
[ BOJ 17298 ] 오큰수 ( JAVA ) (0) | 2023.08.13 |